등록교인과 회원교인

지난 주일에 안수집사 투표는 여러분이 기도로 준비하신 덕에 잘 마칠 수 있었습니다. 그 전에 광고를 몇 차례 하면서 설명했지만 막상 투표하는 날이라고 하니 내가 투표 자격이 있는 사람인지 헷갈려 하는 분들이 더러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자격 기준은 예수 영접 모임을 하고 세례 받은 사람...

목장의 단계

김재정 목사 목장이 거치는 다섯가지 단계가 있습니다. 서로를 알아가는 단계, 허물이 발견되는 단계, 인간적으로 가까워지는 단계, 영적인 문제를 나누는 단계, 분가의 단계 입니다. 처음에는 만남 그 자체가 좋아서 목장 모임이 재미가 있습니다. 그러나 목장에는 서로 안맞는 사람들이 있을수 ...

안수집사

안수집사는 무엇일까요? 성경에서 우리가 들어 보는 감독, 장로, 집사와 같은 교회 직분에 대해 나옵니다. 집사는 사도행전 6장에 나오는 일곱 일꾼들을 집사로 여기기도 하지만 성경적 근거는 빈약합니다. 사도행전 21:8에서 빌립을 ‘일곱 집사 중 하나’라고 말하지만 ...

삶공부를 소개합니다

가정교회 정신을 잘 구현하기 위해서는 3축 4기둥이 모두 실행되어야 합니다. 3축 4기둥은 생명의 삶공부 혹은 평신도 세미나를 통해 배울 기회가 있습니다만 3축을 간단히 말하자면 우리 신앙 생활에 주일에배, 목장, 삶공부가 있습니다. 3축은 사람의 지정의에 맞춰 균형 있는 신앙 생활을 ...

크리스천으로서 조문하기

생명이 잉태되고 혹은 누군가를 떠나 보내는 것이 우리 일상임에도 불구하고 죽음에 관한 소식을 접하는 것은 모든 사람에게 어려운 일입니다. 성인이 되면서 상을 당한 유족들을 조문할 기회가 발생하게 되었는데 그 때마다 무슨 말을 어떻게 해야 할지 매우 곤란을 겪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교회 회원

모든 단체는 물론 요즘은 인터넷 싸이트에 이르기까지 가입 조건이 있습니다. 조건이 맞지 않을 때는 가입 자체가 불가능하고 탈퇴 당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교회처럼 가입과 탈퇴를 쉽게 하는 곳도 없는 것 같습니다. 구원 받은 백성들의 모임이요, 하나님 나라를 이루는 영적 공동체임에도 불...

안수집사 세우기

교회가 하는 일 중에 중요한 한가지는 일꾼을 세우는 것입니다. 일꾼을 어떻게 세우는가에 따라 교회가 더 밝아지고 부흥하는 교회로 가기도 하지만 잘못 세우면 더 힘들어질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공감하겠지만 그간 한국 교회는 직분자를 세울 때 긍정적인 면들도 많았지만 부정적으로 작...

세 사람을(축복하기, 밥 먹기)

김명국 목사 지난 주간에 좋은 책을 한 권 읽었습니다. 호주에 있는 친구 목사님이 소개해준 “세상을 놀라게 하라”(마이클 프로스트 저, 넥서스) 라는 책인데, 붙잡는 순간에 단숨에 읽어 내려갔습니다. 이 책의 핵심 내용도 그렇지만 무엇보다 실천적인 생활 습관을 바꾸...

위임과 방임

지난 주에 이어 오늘도 가정교회 정신의 중요한 한 축에 대해 ‘위임’이라는 말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위임은 평신도가 평신도 사역의 본연의 자리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가정교회로 전환하면서 많은 교회들이 위임이라는 말에 매력을 느끼게 되지만 위임이 잘못된...

책임 목양

평신도 지도자란 말을 들어 본 적이 있나요?교회는 오랫동안 평신도 지도자를 세우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왜냐하면 평신도 지도자는 신약성경에 있는 초기 교회들부터 존재해 왔고 그 역할이 제대로 시행될 때 교회가 더 건강하게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 있는 대부분 교회 분위기를 보면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