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가 하는 일 중에 중요한 한가지는 일꾼을 세우는 것입니다. 일꾼을 어떻게 세우는가에 따라 교회가 더 밝아지고 부흥하는 교회로 가기도 하지만 잘못 세우면 더 힘들어질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공감하겠지만 그간 한국 교회는 직분자를 세울 때 긍정적인 면들도 많았지만 부정적으로 작동한 면도 적지 않게 있었습니다. 그 이유 중에 하나는 교회에서 직분을 마치 회사 서열처럼 인식하며 남용된 호칭으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우리 교회는 앞으로 교인 숫자가 늘어난다고 하더라도 직분 자체를 위한 일꾼 세우기는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은 우리가 가정교회를 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직분자를 세우는 것은 교회에서 요구되는 사역이 있기 때문에 일꾼을 세우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장로교 헌법에 권사의 직무를 설명할 때, “당회의 지도대로 교인을 방문하되 병환자와 곤란을 당하는 자와 연약한 교인을 돌아본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 교회에서는 심방팀의 일원으로 권사 직분을 감당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우리 교회와 같이 가정교회를 하는 교회들은 심방 뿐 아니라 목양의 포괄적 사역을 목자(녀)가 감당하고 있으니 현재 권사 직임은 요구되지 않습니다.
교회 운영을 위한 직분들은 여전히 필요합니다.
가정교회에서 목자들이 책임 목양을 한다 하더라도 교회 운영을 위한 직임들은 여전히 요청됩니다. 장로교회인 경우 목사와 장로들로 구성되는 당회가 중심이 되어 교회 운영을 책임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형편이 되지 않아 당회 구성이 여의치 않다면 운영 위원들을 따로 구성해야만 합니다. 목회자가 개척한지 얼마 되지 않은 경우라면 모르지만 교회 운영을 목회자 한 사람이 떠맡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우리 교회 정도라면 운영 위원회를 구성해야 하고 현재도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교회의 일꾼을 위해서는 먼저 기도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안수 집사 후보 천거는 차후 총목자 모임을 통해 이루어지겠지만 이번과 같은 경우는 운영위원회에서 수개월 전부터 논의하고 천거하였습니다. 그 이후 3개월 정도는 제가 먼저 기도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후보 허락을 위해서도 바로 답을 하지 않고 7일 동안 기도 시간을 가진 뒤 답변을 하도록 하였습니다. 이후에는 후보자들에게 질의하는 시취가 있을 것이고 교회의 투표, 그리고 훈련 과정을 거쳐 임직 예배를 드리게 됩니다. 교회 일꾼을 세우는 것은 내 감정, 의견보다는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시간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여러분 모두 이 과정을 위해 먼저 기도해 주시길 당부 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