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을 부르는 서양 문화와 달리 이름 대신 호칭을 쓰는 문화권이다 보니 교회 생활을 하면서도 늘 헷갈리게 다가옵니다. 그러다 보니 교회 생활 조금 하게 되면 서로 본인들끼리 알아서 ‘집사님’ 이라고 부르는 우스운 일도 벌어집니다. 그리고 종종 권사, 장로의 일을 감당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권사, 장로가 되지 못하면 시험에 들어 교회를 떠나는 사람도 더러 있습니다. 그렇다면 가정교회를 하는 우리 교회는 호칭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우리 호칭은 ‘영혼구원’과 목장을 통해 ‘교회를 세워 나간다’ 라는 관점에서 출발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영혼구원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기에 목장에 처음 오는 VIP를 배려하는 호칭이어야 합니다. 그래서 목장 내에서는 집사, 권사, 장로 등의 문화적 어색함이 느껴지는 호칭보다 영적 가족 같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언니, 삼촌, 어머니 등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것도 조금 민감하게 들여다보면 언니, 형 등으로 부르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은 어색하게 느끼거나 그런 관계 속에 있지 못하기 때문에 소외감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목장이 또 하나의 교회를 세워간다는 측면에서 가장 무난한 것은 ‘형제’ ‘자매’와 같은 호칭입니다. 이 호칭은 처음 나오는 사람도 금방 익숙해질 수 있는 호칭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목장에서 목자, 목녀 혹은 목부의 경우는 반드시 그렇게 불러야 합니다. 이 분들은 목장에서 목원들을 목양하는 사람들입니다. 목장은 교회를 세워 나가는 곳이기에 영적 질서를 무너지면 그 사역을 감당할 수가 없습니다. 이는 여러 경험을 통해 입증된 일이기도 합니다. 호칭을 중요시하는 문화권에서 살고 있기에 나를 목양하는 영적 지도자의 권위를 호칭에서도 인정해야 합니다. 목장 모임이 아닌 자리에서도 이것을 지켜 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나이가 지긋한 분이 처음 교회에서 오시면 00선생님, 혹은 젊은층의 경우는 00씨, 00님으로 부르는 것을 선호합니다. 그러다 예수님을 영접하고 나면 00형제님, 00자매님으로 부릅니다. 어른의 경우 계속 00선생님으로 칭하기도 합니다. 저도 낯선 사람과 만나 금방 친숙해지는 성격이 아니다 보니 호칭의 문제가 어렵게 느껴집니다. 우리가 천국에 가면 다른 호칭은 모두 없어지고 ‘헝제자매’ 라는 호칭만 남게 될 같습니다. 그 날을 상상하며 아름다운 공동체 호칭 문화를 만들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