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신도 지도자란 말을 들어 본 적이 있나요?
교회는 오랫동안 평신도 지도자를 세우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왜냐하면 평신도 지도자는 신약성경에 있는 초기 교회들부터 존재해 왔고 그 역할이 제대로 시행될 때 교회가 더 건강하게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 있는 대부분 교회 분위기를 보면 특정 훈련 프로그램을 이수한 사람이거나 장로, 권사와 같은 교회 중직자를 일컬어 평신도 지도자로 생각하곤 합니다. 이런 경우 평신도로서 누군가를 양육하는데 한계가 있거나 아예 그런 일에서 멀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가정교회 목장에서 목자(녀)는 책임 목양을 하는 사람들입니다. 책임 목양은 한 사람이 예수님을 만나는 과정부터 성장, 그리고 예수님의 제자로 살아가는 전 과정에 함께 하며 양육을 합니다. 그래서 목장은 단순한 소그룹이 아니라 교회라고 강조해 왔습니다. 가정교회 원칙은 이런 책임 목양 정신 아래 세워집니다.
우리가 이미 경험하는 바와 같이 이민자들은 작은 단위의 가족 생활에 국한되기 쉽습니다. 그러나 가정 교회의 성도들은 목장을 통해 확대 가족의 간접적인 경험을 하게 됩니다. 목장은 확대 가족임과 동시에 교회이므로 이 공동체를 이끌어 나갈 가장이자 영적인 리더를 필요로 합니다. 목자(녀)에게는 이와 같은 중요한 책임이 따르고, 교회는 목장들이 책임 목양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목자(녀)는 임명시에 선서했던 서약을 신실히 이행하고 있는지 늘 자신을 돌아보아야 할 것이고, 목원들 또한 나날이 성장하고 서로 배려하는 성숙된 모습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일례로 다른 목장의 누군가와 교제를 할 때는 단순한 교제인지, 소속 목장의 목자(녀)에게 양해를 구해야 하는 교제인지 구분해야 합니다. 특별히 그 목장의 영적 질서에 개입되는 교제라면 자제하는 것이 책임목양을 돕는 것이며 예의이기도 합니다.
이 책임 목양이라는 가정교회 정신이 이해가 되지 않으면 다른 목장 식구들과 교제할 때 혼돈이 올 수 있습니다. 특별히 전환 단계에서 그런 혼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 교회 식구들 중 대부분이 목자가 되고 그 목장 식구들이 처음부터 목장으로 온 사람들로 채워진다면 이런 혼란이 사라질 것입니다. 그런 날이 곧 오길 기대합니다. 사람들이 대개 자신의 성향, 사회활동의 관심을 따라 친소 관계를 구분하고 그 중에서 몇 사람과만 친하기 쉽습니다만, 목장을 통해 지인의 범위를 넓혀가고 가족 이상의 가족을 만들어 나가는 모습도 아름답습니다. 또한 각종 삶공부와 사역위원회, 기도 모임등을 통해 교회 공동체의 범위를 한층 더 넓혀 나가는 모습 또한 아름다운 일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