싫어하는 두 가지

제가 싫어하는 것 두 가지가 있습니다. 설교 시간에 조는 사람과 약속 시간에 늦는 사람입니다.

설교 중에 조는 사람을 싫어하는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일종의 모욕감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저는 설교 중에 조는 것이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해서 들어줄 수가 없어!” 라는 적대감을 몸으로 전달하는 것 같이 느껴집니다. 본인이야 몸이 피곤하거나 설교가 귀에 들어오지 않아서겠지만 제가 받는 느낌이 그렇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게으르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사람이 깨어 일 할 때 자는 사람은 게으른 사람입니다. 남들은 경청하고 있는데 꾸벅꾸벅 조는 것을 보면 무슨 일을 하든지 열심히 하지 않을 것 같아 보입니다.

그래서 목회자 세미나 때도 이런 부탁을 합니다. “졸음과 싸우는 모습을 보면 제가 너무 힘이 듭니다. 졸리면 뒤쪽으로 가 서서 강의를 듣시든지, 화장실에 가서 세수를 하고 오든지, 물을 마시고 오십시오. 수업 중간에라도 괜찮습니다.”

또 약속 시간에 늦는 사람을 싫어하는 데도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무례하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 약속을 하고 늦게 나타나서 상대방을 기다리게 하는 것은 무례한 행위라고 생각합니다. 강의나 예배와 같은 공적 모임도 그렇습니다. 한참 예배나 강의가 진행 중인데 도중에 분위기를 깨고 들어오면 무례하게 느껴집니다. 두 번째는 교만하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강의나 예배 시간은 공적으로 약속한 시간입니다. 그럼에도 그것을 무시하는 것은, 그 약속이 자신에게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아서 교만하게 느껴집니다.

어떤 사람이 홈페이지에 올린 글입니다. 은행에서 일하는 한 사람이 아들에게 들려준 충고인데, 첫째는 이것이라고 합니다 “약속 시간에 늦는 사람과는 동업하지 마라. 시간 약속을 지키지 않는 사람은 모든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

금년에 저를 위해서 기도해 주실 제목은 제가 마음이 푸근한 사람이 되게 해 달라는 것입니다. 이런 기도를 부탁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이 마음이 푸근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올해 말쯤 되면 여러분의 기도 덕분에 마음이 푸근해져서 싫은 사람이 없어지기를 바랍니다. 그러나 그 때까지 저를 돕는 의미에서 설교 시간에 졸지 말고 예배나 강의 시간에 늦지 말아주기를 바랍니다.

최영기 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