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사 직분에 대하여

교회 조직 안에서 직분은 참으로 중요한 것입니다.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직분이 오용 내지 남용되고 있는 것도 현실입니다. 교회의 직분이란 본래 믿음의 사 람을 세워 하나님 나라로서의 교회를 굳건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는데도 말입니다.

우리 한국 문화는 이름을 부르는 문화가 아니라 호칭을 부르는 문화이다 보니 교회에서 직분도 서양 사람들과는 조금 다르게 다가 오는 것 같습니다. 저는 어렸을 때 아버지의 사촌 형제들을 ‘아저씨’라고 불렀습니다. 촌수로 오촌이니 그렇게 부르는 것이라고 배웠습니다. 한데 요즘 ‘아저씨’ 나 ‘아주머니’ 같은 멀쩡한 호칭도 맘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세태가 되었습니다. 그 만큼 우리에겐 호칭은 민감성을 가지고 있는 문화입니다.

교회에서 직분자를 잘 세우면 당사자나 교회에 큰 유익이 올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잘 세우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어떤 경우는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 는 말처럼 일단 직분을 주면 그 만큼 감당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어느 정도 인정이 되는 의견입니다. 하지만 잘못 세워지면 본인에게나 교회에게 부담만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저런 형편을 감안한다면 서리 집사의 경우는 주일 예배 출석의 성실함, 교회 생활에서 섬김, 헌금 생활 등을 감안하여 무난한 경우라면 임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한 번 임명되신 분들은 중대한 문제를 일으켜 교회에 해를 끼친 경우가 아니라면 계속 ‘집사’의 직을 유지 하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그렇지만 삼일교회의 사역의 핵심은 목장을 이끄는 목자(목녀, 목부)들에서 일어나야만 합니다. 모든 직분자의 역량은 목장을 세우는데 집중되어야 합니다. 목장에서 섬김의 사역을 통해 제자로서의 훈련을 잘 감당한 사람이라면 안수집사, 권사, 장로의 직분 역시 진정한 하나님의 사람으로서 잘 감당할 수 있게끔 준비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이렇게 우리 각 사람이 하나님의 사람으로 든든히 세워져 가는 교회가 되길 바랍니다.

안 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