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교회 교역자가 목장 식구들이 담소하면서 진솔하게 삶을 나누는 아름다운 모습을 보면서 이런 생각을 했다고 합니다. ‘만일 목장 모임이 없었으면 이들이 금요일 저녁에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분명 술집에 가서 술을 마시든지, DVD를 빌려다가 소파에 누워서 보고 있었을 것이다.’
맞습니다. 안 믿는 사람들은 황금 주말이라고 하는 시간을 어떻게 보냅니까? 술에 몽롱하게 취해 앉아 있거나, 소파에 누워 밤늦게까지 TV나 DVD를 시청하거거나, 컴퓨터 앞에 앉아서 웹사이트를 뒤지거나 클럽에서 미친 듯이 춤을 추는 것이 고작입니다. 따라서 마음과 마음이 만나는 대화를 나누고 더불어 웃고 울 수 있는 목장 모임이야말로 황금 주말을 보내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목장 모임에 참석하는 것을 마치 선심 쓰는 것처럼 부담스러워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또 어떤 사람들은 직장 생활과 가정 생활을 희생시킬 수 없다고 교회 봉사를 거부합니다. 그러나 가정과 직장만 위해 사는 삶의 종말은 무엇입니까? 가족을 돌보았다는 것 외에 아무 것도 남길 것이 없을 것입니다.
우리는 세상에 흔적을 남기고 싶은 원초적인 욕구가 있습니다. 이 욕구를 채울 수 있는 방법은 영혼을 구원하여 제자 만드는 삶입니다. 자신을 통하여 영원히 존재하는 영혼 구원을 이루고 구원받은 사람들의 자손이 거룩한 백성이 되는 것보다 더 확실한 흔적을 남길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다양한 사역을 많이 하는 것으로 유명한 어떤 미국 교회에서 개최했던 세미나에 참석했던 사람이 들려준 이야기입니다. 질의응답 시간에 참석자 한 사람이 담임 목사에게 딴죽을 거는 듯한 질문을 했다고 합니다. “밥벌이하기도 바쁜 사람들에게 교회 사역을 요구하는 것은 삶의 짐을 덜어 주어야 할 교회가 짐을 더 얹어 주는 것 아닙니까?” 그 때 목사님이 정색하고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교회 사역을 하게 하는 것은 짐을 지우는 것이 아닙니다. 의미 없는 삶을 살다가 흔적 없이 사라질 사람들에게 영원한 것을 위해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주님의 일을 할 때 주님에게 선심 쓰듯이 해서는 안됩니다. 주님의 사역은 부담이 아니라 특권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해야 합니다.
최영기 목사